D3_js

[D3.js] 척도

vhxpffltm 2019. 8. 3. 00:45
반응형

척도는 입력되는 정의역(domain)과 출력되는 치역(range)을 매핑한 함수를 말한다.

 

D3 reference를 보면 자세히 볼 수 있다.

 

데이터의 값들은 척도를 사용하여 시각화에 적절한 값으로 비율을 바꾸어 쉽게 매핑할 수 있다.

 

여기서는 선형척도만을 다루어 본다.

 

정의역이란 입력 가능한 데이터 값의 범위를 말하며 치역은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값의 범위라 생각하자. y=f(x)함수처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. 

 

선형척도는 D3가 수행하는 수학적 정규화 과정이며, 정의역을 기준으로 정규화되고 정규화된 값은 치역을 기준으로 비율이 변경된다.

 

 

1
2
3
4
5
6
7
<script>
        var scale = d3.scaleLinear(); // 척도함수 생성
        scale.domain([100500]); // 정의역의 범위를 설정
        scale.range([10350]); // 치역 범위를 생성
        console.log(scale(100));
        console.log(scale(300));
    </script>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 

 

콘솔값을 확인하면 10과 180을 반환함을 볼 수 있다. 척도함수의 생성은 위와같이 만들 수 있다. 이것을 기반으로 산포도에 척도를 적용해보자.

 

우선 코드를 보자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<script>
var w = 600,h = 600,padding=20;
        var datas = [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[520], [48090], [25050], [10033], [33095]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[41012], [47544], [2567], [8521], [22088],[600,150]
        ]; // 산포도를 위한 데이터, 배열의 배열 처럼 이해
 
        var scale = d3.scaleLinear(); // 척도함수 생성
        scale.domain([100500]); // 정의역의 범위를 설정
        scale.range([10350]); // 치역 범위를 생성
        console.log(scale(100));
        console.log(scale(300));
 
        var xscale = d3.scaleLinear().domain([0d3.max(datas, function (d) {
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d[0]; // datas는 배열의 배열, 해당 배열에서 배열의 0번째 원소중 가장 큰걸 반환
        })]).range([padding, w-padding*2]);
        //정의역의 아래쪽 경계값은 0, 위쪽 경계값은 데이터의 최대값
 
        var yscale = d3.scaleLinear().domain([0d3.max(datas, function (d) {
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d[1]; //내장 배열의 2번째 값을 반환함.
        })]).range([h-padding, padding]); // y값이 큰것이 위로가고 작은것이 아래로 내려오게 된다. 치역이 바껴버림!!!
        //치역역시 0부터 svg의 최대 넓이인 w
 
        var rscale = d3.scaleLinear().domain([0,d3.max(datas,function(d){
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d[1];
        })]).range([3,10]);
 
        var svg = d3.select("body"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ppend("svg"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ttr("width", w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ttr("height", h);
 
        svg.selectAll("circle")
            .data(datas)
            .enter()
            .append("circle")
            .attr("cx"function (d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xscale(d[0]);
            })
            .attr("cy"function (d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yscale(d[1]);
            })
            .attr("r"function (d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rscale(d[1]);
            });
            //데이터를 원본의 값이 아닌 척도 함수를 사용한 값을 반환하도록 한다.
 
        svg.selectAll('text').data(datas).enter().append('text')
            .text(function (d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d[0+ "," + d[1];
            })
            .attr('x'function (d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xscale(d[0]);
            })
            .attr('y'function (d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 yscale(d[1]);
            })
        .attr('font-size''11px')
        .attr('fill''red')
        .attr('font-family''sans-serif');
    </script>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 

 

이전의 산포도 코드를 척도를 사용하여 변형한 것이다. 

xscale, yscale, rscale의 척도를 사용하여 산포도를 나타낸다. 이 부분은 주석의 내용을 참조하자. 경계값에 padding은 원과 텍스트가 범위를 벗어나 잘리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하였다. 

 

그리고 기존의 SVG시각화 코드의 각 return값을 위와 같이 적용한다. 척도함수를 사용한 값을 반환하여 데이터를 나타낸다. 이렇게 척도함수를 사용하면 데이터의 값이 100000일 경우에도 그래프의 폭이나 너비를 코드변경없이 적용할 수 있다.

 

반지름값도 척도함수를 적용하여 data의 값에 따라 항상 3~10 사이의 값만을 가질 것이다. 그게 아니라면 척도함수를 사용하지 말고 원본의 데이터값을 사용하여 적용하면 된다.

 

 

코드를 실행하면 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. w, h 값을 변경하고 rscale의 range 범위, padding값을 적절히 변경하여 결과를 확인하면 이해를 금방 할 수 있다.

 

그 외 기타 척도 메서드들은 래퍼런스를 확인하여 필요한것을 사용하면 된다. 

https://github.com/zziuni/d3/wiki  이곳에서 확인하자.

 

척도의 기능을 알았으니 이 척도를 시각화하기 위한 축을 배우게 될 것이다.

 

 

반응형

'D3_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D3.js] 막대 그래프 갱신, 트랜지션(trasition)  (0) 2019.08.28
[D3.js] 축_ aXis  (0) 2019.08.15
[D3.js] Scatter_산포도  (0) 2019.07.25
[D3.js] SVG를 이용한 Chart와 Circle  (0) 2019.07.19
[D3.js] chart 그리기  (0) 2019.07.17